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및 신청기간

by zhtmzh 2025. 2. 2.
반응형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안정적인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정책금융상품입니다. 가입 대상은 만 19~34세의 청년(병역 이행 기간만큼 최대 6년까지 연령 연장 가능)이며, 신청 방법은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 등 11개 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청년도약계좌는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청년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1. 연령:

  •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병역 이행 기간만큼 최대 6년까지 연령 연장 가능)

2. 소득:

  • 개인 소득:
    •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 또는, 직전 과세기간 종합소득세 신고 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과세기간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250% 이하

3. 기타 조건:

  •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니어야 함

자세한 내용은 다음 자료를 참고하세요:

주의 사항:

  • 위 조건 외에도 추가적인 가입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가입 가능 여부는 서민금융진흥원 또는 취급 은행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청년도약계좌 2월 가입신청 및 주요 내용 안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2월 3일부터 14일까지 청년도약계좌 2월 가입신청 기간을 운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가입 신청 및 계좌 개설 일정:

  • 신청 기간: 2월 3일 ~ 2월 14일 (매월 취급 은행 앱에서 신청)
  • 1인 가구 계좌 개설: 2월 20일 ~ 3월 14일 (영업일 기준)
  • 2인 이상 가구 계좌 개설: 3월 4일 ~ 3월 14일 (영업일 기준)

취급 은행:

NH농협, 신한, 우리, 하나, IBK기업, KB국민, 부산, 광주, 전북, 경남, iM뱅크(구 대구은행)

 

 

 

지원 내용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부 지원 정책 금융 상품으로, 다음과 같은 파격적인 지원을 제공합니다.

 

1. 적금 방식:

  • 자유 적립: 월 최대 70만 원 이하로 자유롭게 적립할 수 있습니다. (회차별 최소 1천 원 이상, 1천 원 단위 입금 가능)
  • 납입 한도: 매월 70만 원, 연간 840만 원을 초과하여 납입할 수 없습니다.
  • 유의 사항: 가입일에 관계없이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합니다.

2. 가입 기간:

  • 5년 (60개월): 5년 동안 꾸준히 납입해야 만기 시 모든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적금 이율:

  • 최대 6%: 기본 금리 (3.8~4.5%)와 우대 금리를 합하여 최대 6%의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금리 변동: 가입 후 3년은 고정 금리, 이후 2년은 변동 금리가 적용됩니다.
  • 은행별 금리 확인: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에서 청년도약계좌 금리를 비교하고 가입할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4. 비과세 혜택:

  • 만기 해지 시 비과세: 만기 해지 시 은행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조세특례법 제91조의22)
  • 세금 절약 효과: 이자 소득세 15.4%가 면제되어 실질적인 수익률을 높여줍니다.

5. 정부 기여금:

  • 정부 지원금: 개인 소득 수준 및 적금 납입 금액에 따라 정부가 추가로 돈을 적립해주는 제도입니다.
  • 소득 기준: 개인 소득이 6,000만 원을 초과하거나 소득이 없는 경우에는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 육아휴직 및 군 장병: 육아휴직 급여 또는 군 장병 급여만 있는 경우에는 정부 기여금 매칭 비율 6%가 적용됩니다.
  • 정부 기여금 지급 구조: (자세한 내용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참고)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 매칭 한도 매칭 비율 최대 금액 (월)
연 2,400만 원 이하 월 40만 원 6.0% 2.4만 원
연 2,400~3,600만 원 월 50만 원 4.6% 2.3만 원
연 3,600~4,800만 원 월 60만 원 3.7% 2.2만 원
연 4,800~6,000만 원 월 70만 원 3.0% 2.1만 원
 

 

 

2025.02.02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확대! 달라지는 점은?

 

2025년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확대! 달라지는 점은?

2025년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에 대해 안내해 드립니다. 2025년 1월부터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지급 방식이 개선됩니다. 이전에는 소득 수준에 따라 기여금 지원에 차등이 있었으나, 2025년

cosco.tistory.com

 

 

2025.01.31 - [분류 전체보기]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드림대출 한도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드림대출 한도

2025년 2월 21일 출시 예정인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청년들의 주거 안정과 내 집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정책으로 기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보다 금리, 비과세 혜택이 더욱 강화되었으

cosco.tistory.com

 

반응형